욜로(YOLO)족 뜻
욜로 ‘You Only Live Once(한 번뿐인 인생)’
정말 달콤한 말입니다. 한번뿐인 인생이라는 단어가 참 매력적입니다. 현재를 즐기며 살라는 말과 같은 맥락이고, 오늘을 즐기라는 말과도 같은 뜻 같습니다.
아마 지금처럼 무한경쟁의 시대를 사는 사람들에게는 이보다도 달콤한 말이 있을까 싶은 말입니다. 경쟁이 아닌 순간을 즐기는 삶은 누구나가 바라는 삶이 아닐까 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욜로(YOLO)는 2010년대 들어서면서 서서히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다음 백과에서 말하길 “2011년 래퍼 드레이크(Drake)가 발표한 〈더 모토(The Motto)〉의 노래 가사에서 ‘You Only Live Once’와 ‘YOLO’가 등장”한 것이 계기가 됐다고 합니다.
더욱 재미있는 사실은 이 더 모토라는 노래의 인기가 올라갈수록 욜로(YOLO) 역시 하나의 트랜드로 자리를 잡아갔다고 합니다.
욜로(YOLO)과 투데이(TODAY)족의 가치관
욜로(YOLO)족은 현재 20-30대의 세대들의 가치관이 많이 반영된 문화로 볼 수 있다고 말을 많이 합니다. 파이어족과는 반대의 개념인 욜로(YOLO)족은 전 세계적인 저성장과 경제불황 등의 내 삶의 미래를 준비해야하는 입장에 놓인 젊은 층들이 내일이 아닌 오늘에 집중을 하면서 생겨났다고 합니다.
예전에는 오늘이 아닌 내일을 위해 투자를 한 기성세대와 상반된 삶의 방식입니다.
이렇게 상반된 삶의 방식을 선호하는 젊은 욜로(YOLO)족은 스스로가 말하길 개천에서 용 나는 시대는 지났으니 지금 자신이 가진 것으로 지금 순간을 풍요롭고, 즐거운 삶을 만들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고 합니다.
욜로(YOLO)족의 삶은 사람들이 “욜로 라이프”라고 부르며 다른 말로는 투데이(Today)족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정말 단순하게 오늘만 산다는 말 그대로 살아가는 사람들입니다. 그래서 일까? 욜로족은 자신의 생활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단순 명료한 삶을 사는 사람이 많다는데, 이렇게 사는 사람의 생활 방식은 ‘미니멀 라이프’라고 부르며, 또한, 작은 것으로 행복해지는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의 삶을 사는 사람 역시 멀리보면 욜로족 테두리 안에 있다고 말을 합니다.
욜로(YOLO)과 투데이(TODAY)족의 문제점
욜로(YOLO)에 대해 수많은 TV 프로그램에서 낭만을 이야기하며 지금을 사는 사람들의 부러운 모습을 많이 보여줍니다. 그러나 이런 이야기는 말 그대로 Tv속 모습이라고 합니다. 이유로는 많은 사람들이 말하는 저축이 없이는 살기 힘들어진 시대라는 생각 때문입니다.
그런데 미디어에서는 사람들의 소비를 부추기는 프로그램을 많이 만들고, 미래의 투자보다는 당장의 즐거움을 보여주는 것이 더 많아 돈이 많이 들어가는 미래 계획을 미루고, 당장의 즐거움을 찾는 것을 권장하는 것 같다고 말을 합니다.
이에 한 누리꾼은 “사회초년생이나 가정을 꾸려야 할 나이에 미래 계획이 없이 현재를 즐기는 삶을 고집한다면 향후 나라에 큰 문제가 닥칠 것입니다.”라고 말을 합니다.
더군다나 욜로(YOLO)의 가장 큰 문제점은 오늘만을 살기에는 우리가 일할 수 있는 시간이 그리 길지 않다는 것입니다. 기대 수명이 100세 정도로 올라간 현 시대에 일을 할 수 있는 나이를 어디까지 잡아야 할지도 모르고, 지금의 60세 정년을 대입하면 향 후 40년은 어떻게 살아갈 것인지 다시금 생각해봐야 한다고 말을 합니다.
욜로(YOLO)과 투데이(TODAY)족이 되는 이유
어느 사람들이나 돈을 모으고, 안정되게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은 같습니다. 그러나 모두가 그런것만은 아닌데, 특히, 현 시점에서 욜로족이 많아지는 것에 대해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는 아래와 같이 말을 했습니다.
"밀레니얼 세대는 소비 형태에서 다양한 양상을 띤다. 소비를 즐기는 유형도 있는 반면 아끼려는 유형도 있다“
"취업난이 시작되고 경제적으로 힘든 20~30대들이 아끼기 시작했다. 소비하는 유형도 일상생활에서 가능한 아껴서 모은 돈으로 자신이 원하는 소비를 한다"
"아무리 저축해도 집을 장만할 수 없는 등 미래가 불확실하기 때문에 '욜로족'처럼 일단 쓰고 보자는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이들 역시 소비를 하고 난 뒤 후회하는 경우가 많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현실이 후회감을 가중시키기 때문이다"라며 "반대로 현명한 소비를 통해 성취감을 얻는 이들도 있다. 절약할 수 있는 정보를 찾아내는 것에서도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
위와 같은 말 중에 가장 공감되는 것은 아무리 저축을 해도 집을 하나 살 수 없는 현실이 된 사람들이 미래 불확실성 때문에 욜로(YOLO)족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그러나 언제나 그랬듯이 과소비 후에 돌아오는 모든 리스크는 본인의 책임이니 신중해야 할 것 같습니다.
TV에서 나오는 욜로를 말하는 연예인은 말 그대로 연예인일 뿐입니다.
'세계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럽 코로나바이러스 19 감염 확산 (0) | 2020.02.27 |
---|---|
파지아 쿠피와 탈레반 평화협정 (0) | 2020.02.27 |
파이어족 뜻과 조기 은퇴 (2) | 2020.02.25 |
조모(JOMO)족과 포모(FOMO)증후군 (0) | 2020.02.24 |
신천지 교회와 코로나 바이러스 전파 논란 (0) | 2020.02.21 |